< search share >
2022. 6. 1.
-◇ review- 한국화진흥회 2022 정기展(3) -◇권의철 作 단색화(Dansaekhwa)<traces of time >...
.

△ traces of time 22-05
162.0 / 162.0cm mixed media on canvas 2022
◆ 글 : 장서윤 기자 (前월간 美術世界)
◇ 저작권자
◇ 글 : 장서윤 기자 (前 월간 美術世界)
한국적인 입체추상을 선보여온 단색화(Dansaekhwa)의
권의철(權義鐵) 작가가 5. 12. thu 부터 5 20. sat까지
용산 U.H.M. gallery에서 개최되는 < 2022 한국회긴흥
회 정기전>에 초대 출품한다.
권의철 작가는 2세대 단색화 작가라고 불리고 있다. 작가
는 단순한 색채 캔버스안에 마치암각화와 같이 새겨진 문
양과 같은 새겨진 문양과 독특한 패턴의 조형언어를 창조
하여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펼쳐왔다.
그간 <히스토리(history)> 연작에 몰입해온 작가는 이번
전시 를 통해 <시간의 痕迹 (tracesof time)>연작을 선보
인다.
그가 작품의 모티브로 삼고있는 오래된 비석에 새겨진 문
양, 그리고 비석의 표면을 덮고있는 억겁의 시간을 뚫고
나온 듯한 까끌한 질감은<시간의 흔적(traces of time)>
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제는 히스토리라는 역사성보다 시간의 흐름을
조형세계에 남긴 흔적들에서 권의철 작가의 시선에 포착
된 것일까. 작가가 캔버스 위에 쌓아올린 중첩과 반복은
총체적인 하나의 역사로 남기 이전에 작가의 예술적
고뇌와 노동이 담긴 흔적이기도 하다.
그 흔적들이 만들어내는 작품의 까끌하면서도 녹진한
(soft and sticky) 촉감은 전시를 관람하는 관객에게 인생
이라는 시간의 흔적(Traces of time)을 되새기게 한다 .
2022, 5, .
장서윤 기자 (前 월간 美術世界)
관람시간 / 10:00am~06:00pm / 토요일_10:00am~05:00pm / 일요일 휴관
갤러리 U.H.M.gallery U.H.M.서울 용산구 두텁바위로60길 49대원정사 본관 4층Tel. +82.(0)2.9977.5767www.galleryuhm.com
산과 들에는 꽃들이 만개한 아름다운 계절 5월이 찾아왔습니다. 지난 2년 간 코로나19로 인하여 우리들의 일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부터는 조금씩 우리들의 일상으로 복귀하는 희망을 가져보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활동들을 준비해 봅니다. ● 지난 2년간의 시간들 속에서 (사)한국화진흥회도 전국을 순회하며 대규모의 순회전을 성황리에 마치고 올해에도 협회의 정기전인 『그리다 "花ㆍ禾ㆍ話ㆍ畫"』를 열게 되었습니다.

강종래_생+잉태_요철지, 혼합재료_39×54cm_2021

권의철_trace of time_혼합재료_91×91cm_2022

권희연_자연_낮은곳_장지, 채색_45×45cm_2022

김성희_별 난 이야기1806_투명인간_한지에 먹, 채색_179×88cm_2018

김윤순_일일서정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91×72.7cm_2022

김지연_바람이 들려준 이야기_장지에 채색_53×45cm_2021





(사)한국화진흥회는 2017년 (고)유산 민경갑선생님의 말씀을 받들어 한국화발전추진위원들과 많은 노력 끝에 '한국화의 날'을 제정하고 매년 한국화의 날 행사와 함께 '한국화 원로작가 100인展' 및 '韓國畵, 길을 묻다'展 등을 통하여 한국화의 변화된 모습을 시작하는 첫걸음을 했습니다. 학연과 지연을 떠나 한국화의 발전을 위해 모두가 하나가 되었고, 한국 미술의 시계 속에 멈춰버린 것 같은 한국화의 시간을 되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국화의 새로운 비전을 있는가'라는 컨퍼런스를 통하여 한국화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 나누었고, 한국화 자생적인 노력의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사)한국화진흥회는 지난 몇 년의 준비를 마치고 작년 사단법인 승인과 함께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전시회를 마치고 나면 한국화진흥회는 해외특별전도 준비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 한국화를 알리고, 세계미술시장 속에 한국화의 위상을 홍보하고 교류를 통해 작가들을 발굴하는 일들도 함께 노력하고자 합니다. ● 이번 전시회를 위해 많은 노고를 아끼지 않은 집행부 임원들을 비롯하여 전국에서 주옥같은 작품을 출품하여 주신 회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다시 한 번 국내순회전 『그리다 "花ㆍ禾ㆍ話ㆍ畫"』이 코로나19의 어려움 속에서도 성황리에 열릴 수 있도록 많은 응원과 격려 부탁드리며, 앞으로 (사)한국화진흥회가 하는 모든 사업들도 더욱 많은 발전을 할 수 있도록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김춘옥
Vol.20220512a | 그리다 "花 禾 話 畫"-(사)한국화진흥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