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나와의 대화

권의철의 단색화 작품세계 . . . Economic Review - 권동철 문화전문기자

kwonec 2016. 1. 18. 11:12

 

 

> 인사이드 > 전문가 칼럼
한국화가 권의철 단색화작품세계|역사성 의상(意象)을 현대적 회화로 표출-①
권동철 문화전문기자  |  kdc@econovill.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6.01.02  16:03:36
영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구글 msn

   
▲ History-1113, 41×41㎝ Mixed Media, 2011

 

화가는 대상의 상에 대해 필연성만을 표현하려고 하면 작가적 개성이 결여된다. 사물의 정상(情狀)을 감각으로 파악하고 내외적인 특성을 화가의 의상(意想)에 의해 표출해 내야 한다. 특히 한국화(동양화)에서는 먹의 특성을 절대적으로 강조하지만 권의철은 극히 소량의 먹을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또한 나무나 우드락폼보드와 같은 특수 소재에 아크릴을 사용한다. 이러한 회화적 행위는 이미 한국화라든지 동양화라는 장르 구분을 초월하여 회화적 영역을 광의적으로 넓혀 보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권의철은 이러한 제한적 소재로부터 벗어나 고대문명으로부터 문화성, 예술성을 이끌어 내어 현대화하고 있다. 그리고 시기를 상징하는 수상(數象), 사물의 이치나 질 또는 근본(根本)을 상징하는 내상(內象), 사물의 결과로서의 외상(外象)에 의해 파악하고 자신만의 표상을 만들어 낸다.

일례로, 한 개의 나무토막을 놓고 관상하면서 무슨 나무일까(外象), 몇 년이나 자랐을까(數象), 어떻게 자랐을까(內象), 이것을 나무토막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가(言象), 이 물질이 지닌 의미는 무엇인가(意象)라는 다각적인 사유에 의해서 대상을 파악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뿐만 아니라 동양화론에서는 물체가 상(象)을 띠고 있으면 기(氣)와 세(勢)가 있다고 말한다. 물론 서양의 미술에서도 기와 세는 존재한다. 그것이 생명력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화론에 대입해 보면, 권의철의 ‘History’라는 명제로 추구하고 있는 작금의 작품들은 흰색을 기조로 하는 모노크롬 형식의 평면에서 부조적 음양각으로 표출하고 있는 문자체(역사성)을 기라고 할 수 있고, 암각화 등에서 도입된 형상에 담긴 고대인의 의상(意想)을 추정하여 형상화하고 있는 이미지(현대성)가 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역사성 이미지의 내재적 의미를 외상, 수상, 내상, 언상, 의상, 상상 등의 감성으로 파악하면서 기와 세를 판단하는 것이 History의 정체성인 것이다.

여기에서 모노크롬 형식의 평면구도는 생리적으로 원근감의 부정이라고 말하기 쉽지만 권의철의 화의(畵意)는 다르다. 공간을 매우는 부조적 평면화에서 문자체나 암각화같은 내재적인 이미지가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외적 세계를 표면화하지 않고 색면의 관계구조를 표현영역으로 확충한다. 그런가 하면 역사성을 회화적으로 사실화하고 있어서 현대성과의 조화에 의해 작가의 화의가 충만한 총체적 회화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흰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혹자는 흰색은 무색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흰색이야말로 무한한 색의 신비를 지닌 색의 원천이다. 그렇기 때문에 흰색에 의해 모든 색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색채학적으로 말하면 광학의 색의 합은 무색이고 물리적 색의 합은 흑색이 된다. 따라서 회화에 있어서 색의 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흰색인 것이다. 결국 흰색과 흑색은 색의 총체성이라는 결론이고 이를 응용한 권의철은 먹에 흰색을 가미하는 것이 아니라 흰색에 먹(흑색)을 가미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경향은 이미 한국화를 전공한 권의철의 의도가 이미 동서양의 벽을 일탈하고 회화적 안주에 이르렀다는 입증이다. 그것은 색채학적 특성뿐 아니라 동양의 유구한 역사적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고 현대적 기법으로 형상화함으로써 회화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각적 공간에 은유되어 있는 역사성의 강조는 그 형체에서 보이듯이 어제와 오늘의 제한적 이미지가 아니라 무한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시간의 연속성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 역사적 물상인 것이다.

△글=박명인(朴明仁, 미술평론가)

 

 

 

 

권동철 문화전문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구글 msn 뒤로가기 위로가기

 

권의철 作

caption-

h-0912

162.0 / 130.3cm

mixed media

2009

 



                 권의철 (權義鐵 1945~ 경북 尙州生, 홍익대, 한국화)

              대한민국미술대전 비구상 심사위원장, 운영위원 역임

              서울미술대상전 한국화 심사위원장, 운영위원 역임

              現, 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 국전작가회 운영위원

 

 

-->
-->
-->